칼럼 [구교형 칼럼] 대선, 한국교회 시대적 과제 선택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by 관리자 / 작성일12-11-30 10:23 / 조회 2,902 / 댓글 0본문
대선, 한국교회 시대적 과제 선택해야
다시 정치의 계절이 돌아왔다. 정치는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른 모든 영역을 판단, 조정, 배분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기 때문에 특별히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대통령은 우리나라 최고 통수권자인 만큼 대선은 특히 큰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기독교인들도, 목회자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정치에 대한 분명한 자기 견해를 갖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법이 정한 기준과 상식을 존중하는 균형감각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역사에서 기독교인들이 보여준 과열양상들은 사회적으로 나쁜 파장을 불러온 일이 적지 않다. 교회가 흔히 범하는 불법, 위법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 『예배 설교나 광고를 통해 특정 입후보자를 지지 발표 또는 권유하는 경우, 특정인을 직접 거명하지 않지만 “기독교인(장로)을 찍자” “기도하는 사람을 청와대로 보내자”라는 식으로 간접적 지지를 호소하는 경우, 각종 모임시간에 후보자 및 정당 선거관계인을 불러 소개하고 인사하게 하는 경우, 갑작스런 거액헌금을 받고, 그 내역을 소개하는 경우, 특정인이나 특정정당 관계행사를 소개하거나 참석하도록 권유하는 경우』 등이다. 특별히 목사가 교회 공예배를 통해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의 이름을 거명하면서까지 지지 또는 반대하는 행위는 현행법에 저촉된다.
통합선거법 제85조(지위를 이용한 선거운동금지) ②을 보면, ‘누구든지 교육적·종교적 또는 직업적인 기관·단체 등의 조직 내에서의 직무상 행위를 이용하여 그 구성원에 대하여 선거운동을 하거나 하게 하거나, 계열화나 하도급 등 거래상 특수한 지위를 이용하여 기업조직·기업체 또는 그 구성원에 대하여 선거운동을 하거나 하게 할 수 없다.’고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교회는 초대 이승만 정부시절부터 가장 최근 이명박 정부까지 거의 모든 선거마다에서 탈법, 불법을 넘나드는 위험한 부정사례로부터 자유롭지 않았다. 특히 한국교회와 교회 지도자들의 갑작스런 정치적 관심을 그저 정치의식이 높아져서이거나 사회에 대한 책임의식이 성숙되어서라고 보기 어렵다. 그것은 의식의 발전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하기보다는 특권 및 기득권의식으로부터 비롯된 바가 더 커 보이기 때문이다.
부끄럽게도 한국 기독교인들의 일반적 의식수준은 참된 기독교정신과 현실기독교의 입장을 구별해 내지 못한다. 하나님나라와 교회주의, 십자가와 종교적 이해관계를 자주 혼동한다. 그 중심에 기독교인 대통령을 만들겠다는 것과 기독교정당을 만들겠다는 주장이 있다. 다행스럽게도(?) 이번 대선에는 기독교 신앙을 표방할만한 후보가 없어 그런 부분의 우려는 없어 보인다.
올바른 기독교적 정치는 기독교인들이 하는 정치가 아니다. 교회의 입장을 적극 반영한 정치도 아니다.
이번 대통령선거에서 기독교계가 사회를 위해서 가장 공헌할 수 있는 일은 뭔가 대단한 업적을 이루기 이전에, 선거법을 지키며 공정한 정책중심의 선거가 되도록 협조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과 같은 현대 세속사회, 다원화된 사회에서 성경적 정치란 결국 하나님께서 모든 사회에 보편적으로 주신 인애, 공평, 정직의 일반적 공공선을 통해 나타나며, 우리는 그러한 정치적 소양을 가진 정당과 정치인을 지지, 후원하는 것이 성경적이며, 기독교적 정치라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2013년 체제를 이끌어갈 올해 대통령 선거는 어떤 과제, 어떤 성격의 대통령이 필요할까?
먼저, 전 세계는 90년대 이후 냉전체제를 끝내고 국제적 평화시대를 만들어가려고 애쓰고 있다. 이제 우리민족도 60년이 넘도록 견고한 분단시대를 끝내고 민족화해와 통합의 되돌이킬 수 없는 결정적인 진척을 이루어야 한다. 둘째, 국가분열의 지경에까지 이른 심각한 사회, 경제 양극화를 극복하고 사회복지체제 구축해야 한다. 셋째, 당장의 탐욕에 따라 함께 살아갈 자연과 후대의 자원까지 남김없이 긁어가는 사회체제를 지속가능한 생명생태의 사회로 전환시켜야 한다. 넷째, 직접 민주주의 및 지역자치 발전, 권력분산과 책임정치, 제3세력의 정치진입 등 정치개혁과제가 중요하다. 5년간 멈춰버린 평화와 통일기반을 다시 확충하고, 경제민주화와 복지시스템을 확대하고, 생태환경의 지속가능한 사회의 기초를 놓고, 정치개혁을 이루는 시대과제를 주요후보와 각 정당 가운데 과연 누가 더 잘 수행할 수 있는지를 냉정히 살피는 것이다. 기도하며 대선을 준비하자.
(원문보기)
http://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77698
다시 정치의 계절이 돌아왔다. 정치는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른 모든 영역을 판단, 조정, 배분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지기 때문에 특별히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대통령은 우리나라 최고 통수권자인 만큼 대선은 특히 큰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기독교인들도, 목회자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정치에 대한 분명한 자기 견해를 갖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법이 정한 기준과 상식을 존중하는 균형감각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동안의 역사에서 기독교인들이 보여준 과열양상들은 사회적으로 나쁜 파장을 불러온 일이 적지 않다. 교회가 흔히 범하는 불법, 위법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 『예배 설교나 광고를 통해 특정 입후보자를 지지 발표 또는 권유하는 경우, 특정인을 직접 거명하지 않지만 “기독교인(장로)을 찍자” “기도하는 사람을 청와대로 보내자”라는 식으로 간접적 지지를 호소하는 경우, 각종 모임시간에 후보자 및 정당 선거관계인을 불러 소개하고 인사하게 하는 경우, 갑작스런 거액헌금을 받고, 그 내역을 소개하는 경우, 특정인이나 특정정당 관계행사를 소개하거나 참석하도록 권유하는 경우』 등이다. 특별히 목사가 교회 공예배를 통해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의 이름을 거명하면서까지 지지 또는 반대하는 행위는 현행법에 저촉된다.
통합선거법 제85조(지위를 이용한 선거운동금지) ②을 보면, ‘누구든지 교육적·종교적 또는 직업적인 기관·단체 등의 조직 내에서의 직무상 행위를 이용하여 그 구성원에 대하여 선거운동을 하거나 하게 하거나, 계열화나 하도급 등 거래상 특수한 지위를 이용하여 기업조직·기업체 또는 그 구성원에 대하여 선거운동을 하거나 하게 할 수 없다.’고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교회는 초대 이승만 정부시절부터 가장 최근 이명박 정부까지 거의 모든 선거마다에서 탈법, 불법을 넘나드는 위험한 부정사례로부터 자유롭지 않았다. 특히 한국교회와 교회 지도자들의 갑작스런 정치적 관심을 그저 정치의식이 높아져서이거나 사회에 대한 책임의식이 성숙되어서라고 보기 어렵다. 그것은 의식의 발전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하기보다는 특권 및 기득권의식으로부터 비롯된 바가 더 커 보이기 때문이다.
부끄럽게도 한국 기독교인들의 일반적 의식수준은 참된 기독교정신과 현실기독교의 입장을 구별해 내지 못한다. 하나님나라와 교회주의, 십자가와 종교적 이해관계를 자주 혼동한다. 그 중심에 기독교인 대통령을 만들겠다는 것과 기독교정당을 만들겠다는 주장이 있다. 다행스럽게도(?) 이번 대선에는 기독교 신앙을 표방할만한 후보가 없어 그런 부분의 우려는 없어 보인다.
올바른 기독교적 정치는 기독교인들이 하는 정치가 아니다. 교회의 입장을 적극 반영한 정치도 아니다.
이번 대통령선거에서 기독교계가 사회를 위해서 가장 공헌할 수 있는 일은 뭔가 대단한 업적을 이루기 이전에, 선거법을 지키며 공정한 정책중심의 선거가 되도록 협조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과 같은 현대 세속사회, 다원화된 사회에서 성경적 정치란 결국 하나님께서 모든 사회에 보편적으로 주신 인애, 공평, 정직의 일반적 공공선을 통해 나타나며, 우리는 그러한 정치적 소양을 가진 정당과 정치인을 지지, 후원하는 것이 성경적이며, 기독교적 정치라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2013년 체제를 이끌어갈 올해 대통령 선거는 어떤 과제, 어떤 성격의 대통령이 필요할까?
먼저, 전 세계는 90년대 이후 냉전체제를 끝내고 국제적 평화시대를 만들어가려고 애쓰고 있다. 이제 우리민족도 60년이 넘도록 견고한 분단시대를 끝내고 민족화해와 통합의 되돌이킬 수 없는 결정적인 진척을 이루어야 한다. 둘째, 국가분열의 지경에까지 이른 심각한 사회, 경제 양극화를 극복하고 사회복지체제 구축해야 한다. 셋째, 당장의 탐욕에 따라 함께 살아갈 자연과 후대의 자원까지 남김없이 긁어가는 사회체제를 지속가능한 생명생태의 사회로 전환시켜야 한다. 넷째, 직접 민주주의 및 지역자치 발전, 권력분산과 책임정치, 제3세력의 정치진입 등 정치개혁과제가 중요하다. 5년간 멈춰버린 평화와 통일기반을 다시 확충하고, 경제민주화와 복지시스템을 확대하고, 생태환경의 지속가능한 사회의 기초를 놓고, 정치개혁을 이루는 시대과제를 주요후보와 각 정당 가운데 과연 누가 더 잘 수행할 수 있는지를 냉정히 살피는 것이다. 기도하며 대선을 준비하자.
(원문보기)
http://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77698